본문 바로가기

제1부 8. 진정한 연구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제1부 연구 그 자체가 지닌 특성 1-8. 진정한 연구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국내 연구원이 개발한 비단잉어가 중형 자동차 값과 맞먹는 가격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 2002년에 1만 5600달러(1900여 만원)짜리 고급 비단잉어홍백 2마리를 수출했고, 62마리의 비당잉어가 마리당 3,000달러(약360만원)이상의 고가로 미국과 싱가포르에 수출되었습니다. 또 국내 한 바이오 벤처기업은 8천만원 짜리 생쥐를 개발했습니다. 이런 것은 누구나 개발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고도의 기술을 가진 소수의 전문가 만이 해 낼 수 있습니다, 나노기술 역시 점진적으로 소형화시켜 나간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 것을 알만한 인재가 있어야 가능할 것입니다. 작가 모건 로버트슨(Morgan R.. 더보기
제1부 7. 당초생각과 다른 결과를 얻기도 한다 제1부 연구 그 자체가 지닌 특성 7. 당초생각과 다른 결과를 얻기도 한다 어느 과학자가 한 노벨상 수상자에게 "도대체 발견이 무엇이냐"고 문자, 그는 "다른 모든 사람들이 본 것과 똑 같은 것을 보되, 그 속에서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생각해 내는 것이다."라고 언급했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처음에 떠오른 아이디어로 그 무엇인가를 일궈볼려고 노력해 나가는 데, 이 과정에서 간혹 생각하지도 않았던 현상들이 발견되어 당초의 연구목표와 다르게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기도 합니다. 중대한 발견은 우연하게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하며, 때론 이런한 엉뚱한 결과가 우연한 발견으로 이어져 한 나라나 한 기업을 살려내는 효자 노릇도 합니다. 독일 바이엘사의 아스피린도 원래 염료로 개발하다가 실패한 제품이 성공으로.. 더보기
제1부 6. 연구는 오랜 기다림 끝에 잉태한다 제1부 연구 그 자체가 지닌 특성 6. 연구는 오랜 기다림 끝에 잉태한다 2002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본의 다나카 고이치는 초등학교 때 담임선생님의 실험수업이 오늘의 자기를 있게 했다고 말했다. 과학 그 자체가 좋아서 관찰하고 실험하는데 밤새는 줄 모르는 학생이 많을 때 노벨상은 크리스마스 선물같이 자기도 모르게 다가 온다고 했다. 과학자는 눈과 귀가 먼 헬렌켈러가 고통을 참으며 단어를 하나하나 외웠듯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한다는 순수한 마음으로 연구를 한다. 어떤 과학자는 오늘 당장 무엇에 쓰려고 연구를 하는게 아니라, 모르는 것을 알아 내려고 연구를 한다. 연구는 영어로 "research" 라고 한다. 한번 새로운 것을 찾아보고(search) 실패하면 또 다시 찾아본다(re-search)는 의미를 .. 더보기